[현장 이야기]혁신이 긴급구호를 만났을 때

2021-02-15
조회수 81
이미 일어난 재난에 대응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세상은 마다가스카르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이곳의 재난은 어느 언론의 헤드라인속 재난보다 심각하지만, 이곳에서 일하는 구호 기관은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무관심은 노로(Noro)와 같은 마다가스카르의 여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노로는 마다가스카르 북부의 한 마을에서 두 자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열대성 폭풍우가 몰아쳤을 때 그녀는 집에 있었습니다. “홍수로 물로 치솟는 것만 같았고, 짐을 꾸릴 시간도 없이 아이들과 집을 떠났어요. 아이들의 책가방부터 집안에 있는 모든 것이 잠겼어요.” 노로가 당시를 떠올리며 말합니다.

마다가스카르에는 매년 4~5번의 갑작스러운 홍수와 폭풍이 옵니다. 홍수와 폭풍은 집과 각종 기반 시설을 파괴하는 것 외에도 지역 수원지를 오염시켜 페스트나 콜레라와 같은 질병을 만듭니다.

마다가스카르는 재난이 일상처럼 일어나기 때문에 메데어는 이곳에 긴급구호 대응팀을 상시 유지하고 대응합니다. 가장 최근에 메데어는 사이크론 엘로이즈(Eloise) 피해를 측정하기 위해 MAF와 항공 조사를 완료하고 이 결과를 마다가스카르 및 전 세계 기관에 공유하였습니다. 또한 피해 복구를 넘어서 어떻게 사람들의 고통을 줄이고 구호 활동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지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잦은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마다가스카르의 많은 지역 사회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이 없습니다. 기상 연구소에서 보낸 경보는 폭풍의 경로에 있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전달이 될 때에도 홍수 수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없습니다. 긴급구호 대응팀 역시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피해 지역에 항상 신속하게 도달할 수 없으며, 도착해서도 한 번에 몇 주 이상 피난처와 안전한 식수 등 필요한 구호를 지속하기는 힘듭니다.

그래서 메데어는 행동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핫라인 930


메데어는 국가재난관리국((National Bureau of Disaster Management), 국가기상시스템(National Weather System) 및 민간 부문 파트너 Viamo, Earth Network와 협력하여 디지털 조기 경보 시스템 “930”을 구축했습니다. “930”은 경보 시스템의 핫라인 번호 930을 딴 것입니다.

930은 위성 이미지, 조명 센서, 홍수 위험 매핑 시스템을 사용하여 강이 제방에 얼마나 빨리 범람할지, 상승하는 물이 하류 지역에 얼마나 빨리 도달할지 예측합니다. 마을에는 사이렌을 설치하고, 위험 상황 시 서로 경고를 보낼 수 있도록 마을 사람들을 훈련했습니다. 또한 재난 수준의 홍수가 발생할 경우 지역 사회는 역으로 마다가스카르 정부와 국가재난관리국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930 핫라인을 통해 피해 보고서를 보낼 수 있습니다. 이로서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도 재난 경도를 예상하고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가기상시스템의 이사 보아핸지(Voahangy)는 “930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재난 모니터링과 정보 보급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930의 목표


물론 조기 경보 시스템이 재난 자체를 멈추거나 지역 사회의 침수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930으로 지역 사회는 개인 안전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정보는 사이클론이 돌풍과 홍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지 알려주고, 사람들에게 최상의 대피 옵션을 제시합니다. 사람들은 얼마나 빨리 대피해야 하는지 알고 이웃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현지 긴급구호팀은 즉시 행동하여 피난처를 제공하고 오염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물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조기 경보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2020년에만 930 핫라인에 38,000건 이상의 전화가 걸려왔고, 폭풍 경고 메시지는 3개 지역 약 270,000명 에게 전달되었습니다.

 


이것으로 충분한가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더 있을까요?


되풀이되는 자연 재해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이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후 변화에 취약한 지역을 지원하려면 전 세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마다가스카르는 기후 위기와 함께 코로나19 봉쇄 정책과 인플레이션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더 가난한 나라가 되어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메데어는 혁신을 멈추지 않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에 한 걸을 더 다가가겠습니다.

마다가스카르에서의 구호 활동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마다가스카르에서의 메데어 활동은 스위스 개발 협력국(Swiss Agency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 유엔아동기금(UN Children’s Fund), 유럽 시민보호 인도적 지원 사무국(Directorate-General for European Civil Protection and Humanitarian Aid Operations), 민간 부문 인도주의 플랫폼(Private Sector Humanitarian Platform), 로터리 클럽(Rotary Club) 및 여러분과 같은 소중한 개인 기부자의 지원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콘텐츠는 메데어 현장/본부 직원들이 모은 자료로 제작되었습니다. 여기에 표현된 견해는 전적으로 메데어의 견해이며, 어떤식으로든 다른 기관의 공식 견해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데이비드 버붐(David Verboom), 메데어 대표


[문의]: 메데어 코리아 korea@medair.org



긴급구호 후원하기



긴급구호 소식받기

생생한 긴급구호 현장소식을 보내드립니다. 생명을 살리는 현장의 기쁨에 함께하세요!

소식받기를 하시면 메데어의 긴급구호 소식을 받기 위한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사단법인 메데어코리아

대표전화: 1577-9007     이메일: korea@medair.org

카카오채널상담: 메데어코리아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 442-13 (05408)

대표자: 한완선     고유번호: 790-82-00512

통신판매신고: 2023-서울강남-04232호

© 2023 Medair.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Help Now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204-478537
(예금주:사단법인 메데어코리아)

사단법인 메데어코리아

대표전화: 1577-9007     이메일: korea@medair.org      카카오채널상담: 메데어코리아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10길 33 907A (04793)     대표자: 한완선     고유번호: 790-82-00512     통신판매신고: 2023-서울강남-04232호

Help Now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204-478537
(예금주:사단법인 메데어코리아)